반응형
민주주의 대표적인 상징은 다수이다.
그것이 옳을 수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.
즉 민주주의에서는 옳고 그름을 떠나서 다수의 행복권이 중요한 것 같다.
그런데 만약 그것이 소수의 옳은 이에게는 왕따와 같은 행위라면 어떻게
민주주의가 이상적인 제도라 말할 수 있단 말인가?
그래서 민주주에서 가장 위험한 상징은 바로 다수결의 원칙이라는 것이라
생각한다.
찰리 생각
반응형
민주주의 대표적인 상징은 다수이다.
그것이 옳을 수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.
즉 민주주의에서는 옳고 그름을 떠나서 다수의 행복권이 중요한 것 같다.
그런데 만약 그것이 소수의 옳은 이에게는 왕따와 같은 행위라면 어떻게
민주주의가 이상적인 제도라 말할 수 있단 말인가?
그래서 민주주에서 가장 위험한 상징은 바로 다수결의 원칙이라는 것이라
생각한다.
찰리 생각